본문 바로가기

공부/새로 배운 상식들12

평균,기대값,중앙값 등 용어정리 평균 물건의 수나 양의 많고 적음을 고르게 하는일 수치의 대표로써 채용되는 값의 하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균은 산술평균으로 생각하면 되며 기하 평균, 조화 평균 등이 있다. 평균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중심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평균되신 기대값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기대값은 무슨 의미일까? 기댓값(期待값, 영어: expected value)은 각 사건이 벌어졌을 때의 이득과 그 사건이 벌어질 확률을 곱한 것을 전체 사건에 대해 합한 값이다. 이것은 어떤 확률적 사건에 대한 평균의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출처: 위키디피아 평균과 기대값은 거의 같은 의미로 보지만 관점을 두고 차이를 본다면 표본의 데이터 값 연산에 중점을 본다면 평균(이미 구해진 데이터의 평균) 확률변수에 중점을 둔다면 .. 2022. 1. 28.
분산이란? 편차란? 표준편차란? 편차란? 하나의 변량이 편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주는 값이다. 하지만 모든 변량과 평균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기를 힘들기 때문에 편차의 평균을 구할 필요가 있다. 편차끼리의 합은 무조건 0이 나오므로 의미있는 결과물을 내기 위하여 편차에 제곱을 하여 평균을 구하여 분산을 구한다. 편차 = 변량 -평균 변량이란? 점수,시간 같은 여러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예시로 민수라는 아이의 시험 점수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80 90 100 70 라고 가정한다면 국영수사회 과목들이 각각 변량이다. 그렇다면 이 민수의 시험점수의 편차를 계산해보면 위 점수의 평균이 85점이기에 각 국어 80-85 = -5 영어 90-85 = 5 수학 100-85 = 15 사회 70-85 = -15 .. 2022. 1. 27.
QQPlot 큐큐플롯 이란? 정의 QQ plot(Quantile-Quantile Plot)은 두 변수간의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래프이다. 데이터의 분포도와 이론상 분포도가 잘 일치하는가(정규화를 잘 따르는가)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일반적으로는 주어진 데이터와 *정규분포를 비교하여 정규분포 가정이 적정한지 대해 검토하는데 널리 사용되지만 정규분포에 국한할 필요 없이 두 분포의 비교에도 활용된다. 예제 활용 * 정규분포: 통계학에서 대표적인 연속 확률분포이며 아래와 같은 모양의 그래프 형태를 띈다 평균일수록 데이터가 많고 평균에서 멀어질 수록 데이터 수가 줄어드는것이라고 생각하면 됨 2022. 1. 23.
수학 식 계산 순서 너무나 당연하고 초등학교때 이미 다 배웠다 생각했기에 따로 생각해보지 않아 새롭게 안 사실 제곱을 계산할 때에는 우선 순위에서 두번째나 된다는 것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다 계산의 진행은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움직인다. 1. 괄호 2. 제곱 3. 곱하기,나누기 4. 덧셈 뺄셈 덧셈 뺄셈은 순서가 크게 의미가 없지만 곱셈과 나눗셈에서는 큰 의미가 있기 때문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는것이 우선적이란 것 2022. 1. 12.